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682

[인디즈] 자연, 시간, 공간의 건축가 유동룡에 대하여 〈이타미 준의 바다〉 인디토크 기록 자연, 시간, 공간의 건축가 유동룡에 대하여 〈이타미 준의 바다〉 인디토크 기록 일시 2019년 8월 19일(월) 오후 7시 30분 상영 후참석 정다운 감독|유이화 건축가진행 허희 평론가 *관객기자단 [인디즈] 김윤정 님의 글입니다. 내가 잘 모르는 누군가의 삶의 일대기를 영화를 통해 따라간다는 것은 어쩌면 꽤 지루한 여행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여정에서 미처 생각하지 못한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다면, 영화는 새로운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 〈이타미 준의 바다〉는 재일 한국인 건축가 이타미 준, 유동룡의 삶과 작품을 따라가는 영화이다. 유려한 카메라의 워킹으로 보이는 그의 건축 작품은 ‘건축’이라는 것이 단순히 공간을 만드는 작업이 아니라 자연과 시간 공간을 어우르는 모든 것이라는 것을 보여.. 2019. 9. 3.
[인디즈 Review] 〈밤의 문이 열린다〉: 하나의 문을 만들어 스스로를 가두는 이들에게 〈밤의 문이 열린다〉 한줄 관람평 이성현 | 사람을 사람으로 살게하는 것은 결국 또 다른 사람최승현 | 새로운 시공간과 존재에 대한 탐구이성빈 | 과하지 않은 게 이 영화의 최대 미덕승문보 | 삶과 죽음이 접촉하며 시작되는 몽환적인 영적 여행, 그리고 그 끝 '위로'김정은 | 서늘한 밤과 같은 홀로 선 인생을 조심스레 바라보고 잔잔하게 비추다 〈밤의 문이 열린다〉 리뷰: 하나의 문을 만들어 스스로를 가두는 이들에게 *관객기자단 [인디즈] 이성빈 님의 글입니다. 〈밤의 문이 열린다〉는 '비움'이 만들어낸 미덕이 돋보이는 영화이다. 〈밤의 문이 열린다〉 속에는 유령, 과거로의 시간 여행, 죽음, 사채 등 말하자면 자극적인 요소가 가득하다. 그러나 영화가 전하는 것은 그러한 자극과는 거리가 멀다. 영화는 어떻.. 2019. 9. 3.
[인디돌잔치] 2019년 9월 상영작을 선정해주세요 >> 투표하기 2019. 9. 2.
[09.26] 메기 | 이옥섭 INFORMATION 감독 이옥섭출연 이주영, 문소리, 구교환제작2X9HD배급㈜엣나인필름, CGV아트하우스해외배급엠라인디스트리뷰션장르 미스터리 펑키 코미디러닝타임 89분제작년도 2018등급 15세 이상 관람가개봉 2019년 9월 26일 SYNOPSIS “사람들은 왜 서로를 의심할까요?” 이곳은 마리아 사랑병원. 오늘은 민망한 엑스레이 사진 한 장으로 병원이 발칵 뒤집혔어요! 세상에! 저를 가장 좋아하는 간호사 윤영 씨가 소문의 주인공으로 의심받고 있습니다. 과연 윤영 씨는 이 의심의 구덩이에서 빠져나올 수 있을까요? 아, 제 소개가 늦었네요. 저는 메기입니다. 2019. 9. 2.
8월 인디포럼 월례비행 <프랑스 여자> 비평 인디포럼 월례비행 8월: 부재의 자리에 틈입한 것들 글: 정지혜 영화평론가 김희정의 영화에는 반복되는 테마가 있다. 크게 보자면 하나는 불분명한 기억일 테고 다른 하나는 죽은 자의 부재다. 많은 경우 그의 영화 속 인물들은 과거 자신이 겪은 일을, 한때 마주쳤던 이를 어쩐 일인지 잘 기억하지 못한다. 기억이란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레 흐릿해지고 희미해지는 것일 수도 있다지만, 그것만이 이유는 아닌 것 같다. 그의 영화에서 기억나지 않는다는 건 기억하고 싶지 않다는 말이기도 하고 때론 기억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런 기억은 기억하는 주체가 다분히 의도적으로 삭제한 공백에 가깝다. 이러한 기억 상태는 두 번째 테마인 죽은 자의 부재와 깊이 연관된다. 단편 (1999)을 시작으로 아버지.. 2019. 9. 2.
[09.05-09.11 상영시간표] 동물, 원 / 벌새 / 불빛 아래서 / 밤의 문이 열린다 / 이타미 준의 바다 / 려행 / 앨리스 죽이기 / 김복동 / 주전장 2019. 8. 30.
[인디즈] 혐오사회의 앨리스를 만날 수 있는 시간 〈앨리스 죽이기〉 인디토크 기록 혐오사회의 앨리스를 만날 수 있는 시간 〈앨리스 죽이기〉 인디토크 기록 일시 2019년 8월 18일(일) 오후 7시 30분 상영 후참석 김상규 감독진행 정지혜 영화평론가 *관객기자단 [인디즈] 김윤정 님의 글입니다. 앨리스는 회중시계를 든 토끼를 따라 ‘이상한 나라’에 들어가게 되고, 그곳에서 앨리스는 새롭고 신비한 경험들을 한다. 우연한 기회에 북한에 방문하게 된 재외 동포 신은미 씨에게 ‘북한’이라는 나라는 무언가 두렵고 잘 알지 못하는 이상한 나라였다. 하지만 그곳에 들어가서 겪어본 이상한 나라는 어쩐지 조금 다른 듯하다. 〈앨리스 죽이기〉는 북한을 여행하며 느낀 것을 한국에서 ‘통일 토크 콘서트’를 통해 이야기하려 하는 재외 동포 신은미 씨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북한에서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것을.. 2019. 8. 29.
[인디즈 기획] 불빛을 쫓아가는 모든 청춘들에게 〈불빛 아래서〉 조이예환 감독 인터뷰 불빛을 쫓아가는 모든 청춘들에게 〈불빛 아래서〉 조이예환 감독 인터뷰 *관객기자단 [인디즈] 김윤정 님의 글입니다. ‘홍대’라는 이름을 들었을 때 어떠한 것이 떠오르는가? 이 공간을 표현하는 수많은 단어들이 있겠지만 ‘청춘의 열기’가 먼저 떠오른다. 홍대의 ‘걷고 싶은 거리’ 그리고 각종 클럽에 가득 차있는 청년 뮤지션들의 음악은 꿈과 열정 그 자체이지 않을까? 〈불빛 아래서〉는 ‘풀타임 뮤지션’을 꿈꾸는 ‘더 루스터스’, ‘웨이스티드 쟈니스’, ‘로큰롤 라디오’, 뮤지션 세 팀의 삶을 담고 있다. 음악으로 꿈과 열정을 증명하는 그들의 발걸음은 꿈을 향해 달려가는 우리 청춘 모두의 이야기를 대변한다. 6년이라는 시간 동안 세 밴드의 ‘청춘 자소서’를 기록한 〈불빛 아래서〉는 또 다른 청춘인 조이예환 감독.. 2019. 8. 29.
[인디즈 소소대담] 2019.07 영화는 현실을 반영하는 거울이다 [2019.07 소소대담] 영화는 현실을 반영하는 거울이다 참석자: 김정은, 송은지, 오윤주, 이성빈, 승문보, 최승현, 김윤정('소소대담'은 매달 진행되는 인디즈 정기 모임 중 나눈 대화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관객기자단 [인디즈] 이성빈님의 글입니다. 이번 달 소소대담에서 이야기 한 영화는 〈에움길〉, 〈주전장〉, 〈한낮의 피크닉〉, 〈굿바이 썸머〉였다. 영화를 보면 시대를 알 수 있다. 이번 달 이야기한 영화의 목록을 보면 알 수 있지만 현재 독립영화는 우리 사회에 대해서 여러 방면으로 많은 이야기를 하고 있다. 지금은 어쩌면 우리가 많은 이야기를 해야 하는 시점인지도 모른다. 영화는 때론 스크린 밖을 뛰어넘어 법을 제정하기도 하고, 인식을 바꾸기도 한다. 사회성이 짙은 영화들이 계속해서 나온다.. 2019. 8. 28.
[인디즈 Review] 〈김복동〉: '인권 운동가'로 김복동 할머니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 〈김복동〉 한줄 관람평 오윤주 | 피해자가 아닌 인권 운동가로서의 김복동의 삶최승현 | 역사의 무게를 등에 짊어진 자의 박력송은지 | 지금의 분노가 절대 놓치지 않을 기억과 연대의 끈이 되기를승문보 | 김복동 할머니의 27년의 투쟁을 극영화적으로 정리한 아카이브김윤정 | ‘인권 운동가’로 김복동 할머니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 〈김복동〉 리뷰: '인권 운동가'로 김복동 할머니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 *관객기자단 [인디즈] 김윤정 님의 글입니다. 일본군은 군대 위안부 문제에 관여하지 않았다 1990년부터 2019년이 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일본 정부와 극우세력, 역사 수정주의자들의 터무니없는 주장에 맞서기 위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기록하기’와 ‘기억하기’ 운동은 계속되어야 한다. 일본군 '위안.. 2019. 8. 27.
<동물, 원> 상영일정·인디토크 _10월 16일 종영 상영일정 10월 4일(금) 15:0010월 6일(일) 11:0010월 7일(월) 12:2010월 9일(수) 17:2010월 13일(일) 10:4010월 16일(수) 15:30 종영 예매하기 맥스무비 http://bit.ly/2vULqyh (좌석 선택 가능)예스24 http://bit.ly/an5zh9다음 http://bit.ly/2qtAcPS네이버 http://bit.ly/OVY1Mk 인디토크 인디토크● 일시: 2019년 9월 21일(토) 오후 5시● 참석: 왕민철 감독, 주인공 권혁범 사육사● 진행: 싱어송라이터 요조 ● 일시: 2019년 9월 22일(일) 오후 4시● 참석: 왕민철 감독● 진행: 황경신 작가 ● 일시: 2019년 9월 6일(금) 오후 7시 30분● 참석: 왕민철 감독, 조희경 동물자유.. 2019. 8. 27.
[인디즈 Review] 〈앨리스 죽이기〉: 장르영화보다 더 영화적인 장면을 만들어 내는 현실 〈앨리스 죽이기〉 한줄 관람평 김윤정 | 혐오사회의 앨리스를 만날 수 있는 시간최승현 | 한국 사회를 집어삼킨 이데올로기라는 거대한 유령승문보 | 선진국을 열망하는 대한민국의 민낯송은지 | 장르영화보다 더 영화적인 장면을 만들어내는 현실 〈앨리스 죽이기〉 리뷰: 장르영화보다 더 영화적인 장면을 만들어내는 현실 *관객기자단 [인디즈] 송은지 님의 글입니다. 미국의 집에서 피아노를 치는 신은미 씨의 모습으로 시작하는 는 지금껏 한국의 미디어에 비춰진 그의 모습이 미국에서의 그의 삶과 얼마간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듯하다. 영화는 이렇게 말한다. 한국계 미국인 여성이 남편과 함께 평소 잘 알지 못하던 나라로 여행을 다녀왔고, 여행 후 느낀 감동을 책으로 엮어 그 책과 함께 토크 콘서트를 다니던 와중 미국으로.. 2019. 8.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