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munity/관객기자단 [인디즈]

[인디즈 Review]〈말아〉 리뷰: 저는요. 속 보이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by indiespace_한솔 2022. 9. 6.

 

 

 〈말아 리뷰: 저는요. 속 보이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관객기자단 [인디즈] 이예본 님의 글입니다.

 

 

 

 

김밥은 믿음직스러워요.

재료를 한눈에 볼 수 있어 예상 밖의 식감이나 맛에 놀랄 일이 없습니다.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는 위와 같은 대사가 나온다. 대사를 읊는 인물이 자폐 스펙트럼을 가졌기에 캐릭터의 성향(혹은 자폐 스펙트럼의 특성)에 관해 설명하는 대사이기도 하지만 문득 내가 김밥의 단면에 얼마나 익숙해져 있는지, 김밥 속 재료들이 얼마나 예상 가능한조화였는지 헤아리게 되었다.

 

 

이렇게 믿음직스럽고 예상되는음식인 김밥은 별다른 소개가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무척 익숙하고 일상적인 음식이다. 분식점은 물론 편의점에도 각양각색의 김밥이 있고, 김밥 전문점이 아닌 식당에서도 곁들이 음식으로 김밥을 판매하는 경우가 잦다. 봉지에 든 빵이나 샌드위치가 아니라 밥심이 필요할 때 선택하는 한 끼 식사이자 포일이나 포장을 뜯어 잘 잘린 김밥을 하나씩 먹기만 하면 되는 간편식이기도 하다.

하지만 김밥을 직접 싸보고자 마음먹었을 때, 기존에 느끼던 익숙함을 유지하기란 쉽지 않다. 소박하고 정감 있는 이미지와는 달리 생각보다 많은 재료와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 완성되는 음식이기 때문이다. 김밥이 신뢰를 갖는 과정은 결코 가벼운 일이 아니었다. 말아의 주리 역시 몰랐을 것이다. 직접 김밥을 ‘말아’보기 전까지는.

 

할머니의 병간호를 위해 엄마가 시골로 내려가 있는 기간 동안 주리는 을 담보로 엄마와 계약한다. 주리가 지내던 집을 내놓지 않는 대신 엄마의 김밥가게를 대신 맡는 조건이다. 별다른 직장생활이나 경제활동을 하지 않고 있던 주리는 이 조건을 내켜하지 않지만, 끈질긴 엄마의 설득에 넘어가고 만다. 주리는 메뉴를 대폭 줄이고, 멸치를 볶을 때 물엿을 넣었다가 다시 빼고, 서툰 김밥 말기를 계속하며 가게를 운영해 나간다. 게임과 담배, 김밥 꽁다리와 맥주가 전부였던 주리의 일상에 새로운 존재들이 자리 잡기 시작한다.

 

 

영화는 그렇게 흐른다. 주리의 멸치가 알맞은 간을 찾아가는 동안, 단체주문을 완료할 정도로 김밥 마는 실력이 늘어가는 동안 생긴 몇 가지 사건사고도 큰 탈 없이 지나간다. 말아를 보면서 가장 편안했던 지점은 모든 인물이 마치 김밥 같다는 것이다.

밴드를 놔두고 간 이원, 쇼핑백 가득 빵과 반찬을 챙겨 온 춘자이모, 단체주문을 시킨 등산객 손님, 두 줄을 먹고 싶지만 김밥 한 줄 만큼의 용돈밖에 남지 않은 아이 모두 숨겨진 악의 같은 것을 찾아볼 수가 없다. 그들은 너무나 무해하게, 보이는 것이 전부다. 하다못해 신나라 김밥의 비법인 참기름을 훔쳐 가는 사람도, 달라진 김밥 맛에 투정을 부리는 장면도 없다. ‘김밥 맛이 달라졌다고 뭐라 하는손님은 주리와 춘자 이모의 대화 중에 얼핏 스쳐 지나갈 뿐이다.

 

주리에게 빼앗길 것이 생길 때마다, 주리가 담배를 피우기 위해 가게 밖을 나설 때마다, 혼자 퇴근할 때마다 나도 모르게 마음을 졸였다. 이원이 밴드를 놓고 갔을 때도, 시험에 늦었다며 부탁할 때도, 춘자 이모가 이것저것 챙겨 주리를 찾아올 때도, 안면도 없는 손님이 정신없이 단체 주문을 할 때도 마찬가지였다. 누군가 이 잔잔한 일상을 망가뜨릴까 염려했고 겨우 남아있는 것마저 빼앗아 갈까 긴장했다. 그들은 김밥 같은, 숨긴 것이 없어 보이는 그대로인 사람들이라는 것을 나는 영화가 다 끝나고서야 깨달았다.

 

 

점점 더 자극적으로 변해가는 것 같다. 나와 세상 모두. 폭력적인 것, 선정적인 것, 거침없이 나아가 뒤돌아보지 않기를 요구받는다. 그에 응하기 위해 애쓰고, 내 그릇에 맞지 않는 폭력과 거침없음이 드러날까 봐 숨기고 또 숨긴다. 어떤 것들이 나를 이루고 있는지 알고 싶어서 아무리 파헤쳐도 도대체 무엇이 들었는지 알 수 없는 지경이다. 그래서 말아속 인물들을 한 번에 믿지 못한 것일지도 모른다. 창문 같은, 매캐한 가운데 환기가 되어주는 존재가 이제는 제법 낯설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아무리 자극적인 것이라도 김밥 속 재료로 들어가면 그 맛이 어느 정도 조화를 이루던데 내가 가진 것들도 그렇게 어울릴 수 있을까. 피해야 할 것을 가진 사람이 아니라 독특한 맛과 필요를 가진 사람이 될 수 있을까. 속 보이는 사람이 되고 싶어졌다. 믿음직스럽고 담백한 사람, 내 안에 무엇이 들었는지 훤히 보여서 무심코 누군가에게 상처를 줄 일이 없는 사람, 내게 맞지 않는 걸 욕심껏 가지고 있더라도 어울리며 조화를 찾을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 신나라 김밥을 찾았던 김밥 같은 사람들처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