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회 전쟁과여성영화제
The 3nd Women of War Film Festival, WoWFF 2025
일정 | 2025년 9월 27일(토)~28일(일)
장소 | 인디스페이스
주최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주관 | 프로젝트38(project38)
후원 | 디지털소사이어티, 한신대학교 영미문화학,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BK21 교육연구단, 연세대학교 비교사회문화연구소,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BK21 교육연구팀
협력 | 타임앤스페이스, 인디스페이스
2024년 12월 3일, 대한민국에서는 군사 쿠데타가 일어났다. 우리는 실시간으로 군인들이 국회로 진격하는 모습을 목격했다. 같은 해 10월 국군의 날에 탱크가 광화문 한복판을 행진하고 머리 위로 전투기가 나는 모습을 본 지 두 달 만의 일이었다. 그리고 군사주의가 인간에게 총구를 겨누고 다양한 생명을 위험으로 내모는 것은 비단 한국만의 일이 아니다. 가자에서는 오늘도 무자비한 학살이 벌어지고 있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펼쳐 놓는 폭력 역시 멈출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이렇게 계속되는 전쟁의 시간 속에서 제3회 전쟁과여성영화제는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전쟁과 군사주의를 살펴 온 그간의 시선을 생태와 기술의 문제로까지 확장해 고민하고자 한다. 올해 영화제의 주제는 ‘전쟁의 시간, 돌봄의 응답’이다.
돌봄은 흔히 현 상태를 유지하거나 특정 사건 이전의 상태로 회복하려는 실천이라고 여기지만, 우리는 돌봄이야말로 평화와 같은 전혀 다른 체제를 상상하고 실현할 수 있는 행위이자 공동체 구성의 윤리라고 본다. 전쟁 중에 버려지고 도구화되는 동물들, 악화되는 기후위기, 오염되고 파괴되는 생활 터전, 남용되는 기술 등에 주목해 비인간 존재들을 돌보고 상호 의존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과 체계를 고민하고자 한다. 더불어 전쟁 중에도 일상을 건사하고, 공동체를 형성하고, 교육을 이어 나가고, 예술의 잠재성을 믿는 돌봄을 통해 인간성에 대한 믿음을 되살려 보려 한다.
제3회 전쟁과여성영화제는 예산 확보가 쉽지 않은 가운데 힘겹게 이어졌다. 그럼에도 우리가 이를 계속하는 것은 평화 체제에 대한 관객들의 열정적 관심과 고민을 기억하기 때문이다. 늘 전쟁과여성영화제를 기다리고 지지해 주는 관객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올해는 예년과 달리 9월로 시기가 바뀌었고, 영화제 기간도 줄어들었지만 이전과 다름없이 알차게 준비했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
전쟁없는세상, 피스모모 등의 평화운동 단체, 그리고 연구기관들과의 협업 또한 꾸준히 이어 가며 우리 영화제를 영화인과 활동가, 연구자, 관객 들이 연대를 실천할 수 있는 장으로 만들어 갈 것이다. 특히 올해는 다양한 연구기관들의 후원과 협업 덕에 영화제가 열릴 수 있었다. 모두의 진심 어린 마음이 담긴 만큼 이 자리를 통해 군사주의 비판 및 평화 체제 연구가 보다 실천적이고 대중적인 소통을 이룰 수 있기를 바란다.
'Now Playing > 특별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16] 월간 동물영화 <생츄어리> (0) | 2025.08.27 |
---|---|
[08.28-09.30] 해외예술영화 상영전 'LONG SEASON!' (3) | 2025.08.21 |
[08.26] 인디돌잔치 <문경> (0) | 2025.08.20 |
[08.30/09.06] 한국영화에 대한 질문 2 | 한국영화에서 운동의 언어는 어떻게 영화의 언어가 되는가 (1) | 2025.08.12 |
[08.20] 애니살롱전 | 이름 없는 사이 (7) | 2025.08.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