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munity/관객기자단 [인디즈]

[인디즈 Review] <불온한 당신>: 불안한 당신

by indiespace_은 2017. 7. 28.




 <불온한 당신한줄 관람평


송희원 | 광기와 재난에 맞서 "난 이렇게 살아"라고 외치는 사람들

이현재 | 당신을 비추는 거울. 그것은 벽이고, 어쩌면 문.

박영농 | 불온 혹은 불안

이지윤 | 불온하지도 온당하지도 않은 그저, 당신

김은정 | 내가 '나'이기 위한 조금은 어지러운 나열






 <불온한 당신> 리뷰: 불안한 당신




*관객기자단 [인디즈] 박영농 님의 글입니다.



1.

우선 영화의 전개를 살펴보자. 영화는 ‘바지씨’ 이묵의 일상에서부터 출발한다. 이묵은 카메라 앞에서 20세기 한국의 성소수자가 어떻게 살아왔는지를 말한다. 그리고 그를 ‘선배님’이라 호칭하는 감독 이영은 지극히 담담하게 그 모습을 담는다. 동네 구멍가게 앞에서 이웃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소박한 반찬에 끼니를 때우는 지극히 담담한 그 모습. “남자여, 여자여?” 동네 어르신들의 호기심 어린 물음에 이영은 어쩔 줄 몰라 한다. “그런 걸 왜 물어봐” 이묵은 대신 대답한다.




 

2.

어느 날 갑자기 튀어나온 족속들처럼 여겨지는 성소수자들. 그들의 출현은 과연 시절이 수상해 그런 것일까. 이묵은 20세기의 서울 곳곳에 모여 살았던 성소수자들에 대해 이야기 한다. 성소수자는 요즘에서야 생겨난 족속들이 아니다. 언제나 존재했다. 그들은 나름의 공동체를 형성해왔으며 주기적으로 모여 이야기를 나누고 소박한 반찬에 끼니를 때우는 등 지극히 ‘주류’적인 모습으로 존재해왔다. 그들의 후배를 자처하는 감독 이영은 카메라를 매개로 강제된 단절과 공백을 간결한 필치로 메우고 있다.

 

3.

20세기 국가는 성소수자의 친목을 용납하지 않았다. 여자 깡패들이 모여 데모를 일으킬지도 모른다는 이유에서였다. 국가는 불안했다. 데모가 불안했고, 데모로 이룩될 민주주의가 불안했고, 민주주의 이후 모두의 존재가 함부로 부정될 수 없는 그 세상을 불안해했다. 해소되지 않는 불안은 명확한 적을 필요로 하고, 그들을 제거함으로써 불안으로부터 해방될 것이라는 환상을 필요로 한다. 모두의 존재가 함부로 부정될 수 없는 세상을 겨냥한 불안은 빨갱이라는 적을 설정했고, 빨갱이를 제거하면 모든 불안이 해소될 것이라 믿도록 했다. 존재를 부정당하지 않길 바랐던 성소수자들은 자연스레 빨갱이가 되었고, 해소되어야만 했다.

 




4.

카메라는 21세기의 한국으로 시선을 돌린다. 박근혜 정권을 비호하는 시위가 한창이다. 성소수자들 때문에 나라가 시끄러워졌고, 나라를 시끄럽게 하려는 목적은 적화통일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므로 따라서 성소수자들은 빨갱이라는 정식이 여전히 유효하다. 제거의 대상인 성소수자들은 한편 가여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섹스에 중독된 정신병자들은 충분히 가엽고 다시 ‘주류’로 수복해야할 대상이다. 그런 점에서 ‘북한=성소수자’라는 정식은 나름 일관성이 있어 보이기도 한다. 또한, 한국의 20세기와 21세기는 일관성이 있어 보인다. 대를 이어 통치하고 있는 왕을 보니 더욱 그럼직하다.

 

5.

카메라의 시선이 향하는 혐오 시위의 현장에는 이전 장면에서도 보았던 얼굴들이 반복 등장한다. 국정원 불법 대선 개입 조사 반대, 세월호 특조위 연장 반대, 퀴어문화축제 반대 등 다소 거리감이 있는 개별 주제들을 총 망라하는 이들이다. 이들의 주장에서 공통되는 키워드는 ‘반대’이다. 얼마 전 알게 된 사실을 덧붙이자면 그 모든 반대의 기저에는 청와대의 보조금이 있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세금으로 반대를 샀다는 걸까. 참 일관적이다.

 




1-1.

불안은 일관적이다. 불안은 일관적으로 불온을 만든다. 불온한 당신이 있다면, 불안한 당신이 있다는 뜻이다. 당신은 불온한가 아니면 불안한가. “불온혀, 불안혀?” 이 호기심 어린 물음에 누군가는 어쩔 줄 몰라 할 수도 있겠다. 그런 걸 왜 물어봐, 누군가의 누군가는 대신 대답해줄 수 있을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