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ow Playing2991

<풀잎들> 상영일정·인디토크 _1월 15일 종영 12월 20일(목) 13:0012월 23일(일) 19:2012월 25일(화) 11:0012월 28일(금) 12:3012월 29일(토) 18:0012월 30일(일) 11:001월 1일(화) 16:001월 4일(금) 13:001월 5일(토) 19:301월 7일(월) 14:401월 9일(수) 12:301월 12일(토) 10:401월 15일(화) 14:30 종영 예매하기 맥스무비 http://bit.ly/2vULqyh예스24 http://bit.ly/an5zh9다음 http://bit.ly/2qtAcPS네이버 http://bit.ly/OVY1Mk 인디토크 인디토크● 일시: 2018년 10월 31일(수) 오후 8시 상영 후● 참석: 김형구 촬영감독● 진행: 김현민 영화저널리스트 INFORMATION 제목: 풀잎들.. 2018. 10. 19.
<집의 시간들> 상영일정 _11월 29일 종영 11월 8일(목) 13:4011월 9일(금) 12:0011월 12일(월) 13:3011월 13일(화) 11:0011월 14일(수) 15:1011월 16일(금) 14:3011월 18일(일) 11:0011월 19일(월) 15:0011월 21일(수) 16:3011월 23일(금) 14:3011월 26일(월) 16:1011월 28일(수) 11:0011월 29일(목) 16:00 종영 예매하기 맥스무비 http://bit.ly/2vULqyh예스24 http://bit.ly/an5zh9다음 http://bit.ly/2qtAcPS네이버 http://bit.ly/OVY1Mk 이벤트 ● 예매 이벤트 - 일상직물 목베개(1명/색상 랜덤), 모노피스파 파자마(1명/사이즈 랜덤) / -11월 21일 예매분까지. 당첨자 개별 연락.. 2018. 10. 19.
[10.25-10.31 상영시간표] 1991, 봄 / 집의 시간들 / 풀잎들 / 춘천, 춘천 / 죄 많은 소녀 / 대관람차 2018. 10. 19.
[10.30] 인디돌잔치 2018년 10월 상영작 <내 친구 정일우> 인디돌잔치는 매달 마지막 화요일에 진행되는 인디스페이스의 프로그램으로, 1년 전 개봉한 독립영화의 1주년을 함께 축하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입니다. 스크린을 통해 그 때의 감동을 다시 한 번 느껴보세요! 인디돌잔치 10월 상영작 일시: 2018년 10월 30일(화) 오후 7시 30분관람료: 7,000원 / 후원회원, 멤버십 무료인디토크참석: 김동원 감독진행: 마민지 감독 ( 연출) 예매하기 맥스무비 http://bit.ly/2vULqyh예스24 http://bit.ly/an5zh9다음 http://bit.ly/2qtAcPS네이버 http://bit.ly/OVY1Mk 2018. 10. 18.
[10.24] 인디포럼 월례비행 송주원 단편선 - 안무가 되는 공간, 공간이 되는 몸 인디포럼 월례비행 10월 송주원 단편선 - 안무가 되는 공간, 공간이 되는 몸일시 2018년 10월 24일(수) 오후 7시 30분대담 참석 송주원 감독 | 진행 정지혜 평론가관람료 7,000원 (인디스페이스, 인디포럼 후원회원 무료 / 인디스페이스 멤버십 천 원 할인) 예매하기 맥스무비 http://bit.ly/2vULqyh예스24 http://bit.ly/an5zh9다음 http://bit.ly/2qtAcPS네이버 http://bit.ly/OVY1Mk 송주원 | 2017 | 11분 | Performance Art 시놉시스풍정.각(風精.刻) 낙원에서 세운까지는 삶의 이야기가 축적된 도시공간을 중심으로 도시의 삶에서 유리되고 잊혀진 정서와 도시풍경에 주목한다. 세운상가와 낙원악기상가의 건축적 구조와 역사적.. 2018. 10. 17.
[11.01] 밤치기 | 정가영 INFORMATION 제목 밤치기 (Hit the Night)- 각본/감독 정가영- 출연 정가영, 박종환, 형슬우- 제작 레진엔터테인먼트- 배급/홍보마케팅 무브먼트- 영화제제22회 부산국제영화제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섹션 초청- 감독상 및 올해의 배우상(박종환) 수상제47회 로테르담국제영화제 브라이트 퓨쳐 섹션 초청제17회 뉴욕 아시안 영화제 한국영화 부문제20회 타이베이영화제 Asian Prism 부문제20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한국장편경쟁 부문제13회 제주영화제 신작열전 부문제6회 무주산골영화제 창 부문 SYNOPSIS ‘오늘 밤 오빠랑 자는 건 불가능하겠죠?’ 한 번 본 남자두 번째 만남마지막일지도 모를 이 밤 영화감독 가영은 술자리에서 한 번 만난 진혁과 새 영화의 자료 조사차 두 번째 만남을 갖는.. 2018. 10. 16.
[10.25] 풀잎들 | 홍상수 INFORMATION 제목: 풀잎들각본/감독: 홍상수출연: 김민희, 정진영, 기주봉, 서영화, 김새벽, 안재홍, 공민정, 안선영(한재이), 신석호, 김명수, 이유영제작사: (주)영화제작 전원사배급: (주)콘텐츠판다/(주)영화제작 전원사/무브먼트 .MOVement해외배급: (주)화인컷홍보/마케팅: 무브먼트 .MOVement개봉일: 2018년 10월 25일영화제: 제68회 베를린국제영화제 포럼 부문 공식 초청 제56회 뉴욕영화제 메인슬레이트 부문 공식 초청제23회 부산국제영화제 한국영화의 오늘-파노라마 부문 공식 초청 SYNOPSIS 커피집이 있을 것 같지 않은 골목 안으로 커피집이 있고 사람들이 커피집 안 여기저기에 앉아 얘기들을 하고 있습니다. 밖에는 건너편 슈퍼 아줌마가 심어 놓은 몇 가지 종류의 야채.. 2018. 10. 15.
[10.31] 1991, 봄 | 권경원 INFORMATION 제목1991, 봄 (Courtesy to the Nation)감독 권경원출연강기훈 외장르음악 다큐멘터리제작㈜해밀픽쳐스배급㈜인디플러그상영시간89분개봉2018년 10월 31일등급12세이상관람가영화제제20회 우디네극동영화제 (2018)제16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2018)제43회 서울독립영화제 새로운선택상 (2017)제20회 강릉인권영화제 (2017)제4회 사람사는세상영화제 폐막작 (2017)제22회 부산국제영화제 (2017) SYNOPSIS 1987년 승리의 함성이 사그라진 1991년의 봄. 국가의 불의에 저항하던 11명의 청춘들이 스러진다. 국가는 27살 청년 강기훈을 배후로 지목한다. 유서대필과 자살방조라는 사법사상 유일무이한 혐의. 시시한 진실보다 재미있는 거짓이 만개했던 봄, .. 2018. 10. 11.
[10.18-10.24 상영시간표] 춘천, 춘천 / 나부야 나부야 / 봄이가도 / 더 블랙 / 죄 많은 소녀 / 대관람차 / 살아남은 아이 2018. 10. 11.
[10.11-10.17 상영시간표] 춘천, 춘천 / 나부야 나부야 / 봄이가도 / 더 블랙 / 죄 많은 소녀 / 대관람차 / 살아남은 아이 2018. 10. 5.
[10.20] 장우진 감독전 기획전 장우진 감독전 기간 2018년 10월 20일(토)장소 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상영작 , 상영일정 2018년 10월 20일(토) 14:00 16:00 18:00 ✔️ 티켓 1장당 1작품( / )을 무료로 관람할 수 있습니다.✔️인디스페이스 후원회원은 카드 소지 시 과 를 무료로 관람할 수 있습니다.✔️ 상영 후 감독과 함께하는 특별한 이벤트가 진행됩니다. 상영작 장우진 | 2014 | 94min 18회 상하이국제영화제67회 로카르노국제영화제2회 무주산골영화제15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 대상 수상 지방대 국문과 학생인 지현은 제대 후 복학한다. 부푼 마음과는 달리 불안한 캠퍼스의 분위기 속에서 새출발이 쉽지 않다. 비슷한 처지의 후배 혜린과 예기치 않은 계기로 캠퍼스를 벗어나 새로운 여행길에 오른.. 2018. 10. 5.
[10.16] SIDOF 발견과 주목 | 도시 (재)개발의 기억들, <당산>, <일>, <표류인>의 경우 SIDOF 발견과 주목 | 도시 (재)개발의 기억들, , , 의 경우일시 2018년 10월 16일(화) 오후 7시 30분관객과의 대화 참석 김건희, 박수현, 백고운 감독 진행 이도훈 한국독립영화협회 비평분과관람료 7,000원 (인디스페이스, 인디다큐페스티발 후원회원 무료 / 인디스페이스 멤버십 6,000원) 서울이라는 거대도시에서 (재)개발의 풍경은 익숙한 일상이다. 경제논리가 삶의 논리를 압도하는 이 공간에서 삶은 정주할 장소를 찾지 못하고 부단히 부유한다. , , 은 이 만연한 ‘장소 상실’이라는 삶의 조건에 대해 질문하고 성찰하는 작품들이다. 세 영화는 각각 동시대 서울의 다른 공간들(의 ‘당산동’, 의 ‘상도4동’, 의 ‘서촌과 광화문’)을 배경으로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재)개발과 관련하여 .. 2018. 1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