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DIESPACE, since2007

길_5월14일 개봉_대추리에서 시작된 평화의 발걸음, 길_당신과 함께 걷던 그 길을 기억합니다.

by Banglee 2009. 4. 27.

내 논으로 가는 길, 평화로운 세상으로 가는 길, ‘사람’으로 살아가는 길, 그 길을 함께 만들어온 사람들…
돌아갈 수 없는 길이 있습니다. 잊혀지지 않는 길이 있습니다.
2009년 5월, 당신과 함께 걷던 그 길을 기억합니다.

대추리에서 시작된 평화의 발걸음,

  Synopsis              

빼앗긴 들에도 봄이 올까요
함께 있어 더욱 아름다웠던 대추리의 봄

2006년 5월 4일 정부는 대추리에 공권력을 투입해 대추초등학교를 무너뜨리고 볍씨가 뿌려진 논에 철조망을 쳤다. 미군기지 확장 공사를 위해서였다. 평생을 소중하게 가꿔온 ‘자식 같은’ 논밭이 바싹바싹 말라갈 때, 방효태 할아버지의 속도 함께 타들어갔다. 씨 뿌리고 농사 짓는 게 ‘죄’가 되버린 세상. 하지만 할아버지는 “논은 자식보다 소중한 것”이라며 논으로 가기 위한 길을 만들기 시작하고, 그 곳엔 ‘평화’의 힘을 믿는 마을 주민들과 대추리 지킴이들이 함께 있다.

2006년 5월 4일, 작전명 ‘여명의 황새울’                     
그 날 그 곳에선 무슨 일이 있었나                                          

대추리 주민들에게 2006년 5월 4일은 절대로 잊을 수 없는 날이다. 주민들 뿐 아니라, 대추리 문제에 관심이 있었던 많은 국민들 역시 이 날을 여전히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이름하여 ‘작전명, 여명의 황새울’. 예로부터 귀한 존재로 여겨졌던 황새가 노니는 곳이라 하여 이름 붙여진 너른 들판에 방패와 철모로 무장한 군인들과 용역업체 직원들이 들이닥쳤다. 새벽부터 울리던 사이렌 소리와 끝이 보이지 않게 이어진 전경버스, 부산하게 뛰어다니던 학생과 노동자들, 그 사이로 연신 셔터를 눌러대던 기자들로 마을은 그야말로 ‘전쟁터’가 되었고, 정부는 무자비한 군경합동작전을 통해 시위대를 토끼몰이하듯 몰아붙였다. 미군기지 확장에 반대하고 마을을 지키고자 했던 많은 사람들이 다치고 연행되었으며, 투쟁의 중심이던 대추 초등학교는 무너지고, 볍씨를 뿌려놓은 논에는 철조망이 둘러쳐졌다.
마치 전쟁과도 같았던 5월 4일 이후, 대추리의 상황은 급속도로 나빠졌다. 마을로 들어가는 길을 차단하여 통행을 제한하고, 논으로 들어가는 것 또한 막기 위해 깊은 웅덩이를 파놓아 마을과 주민들을 철저히 고립시킨 것이다. 오랜 세월에 걸쳐 대대손손 가꿔온 논과 밭이 바싹바싹 타들어가는 것을 지켜보는 농민들의 속도 함께 타들어갔고, 그 깊은 한숨과 눈물은 김준호 감독의 카메라를 통해 고스란히 전달된다.  


Production Note   '대추리 병’ 걸린 초보감독, <길>을 만들기 시작하다!                                                 

김준호 감독이 처음 대추리를 찾은 것은 2006년 4월. 당시만해도 마을 분위기는 물론 주민들의 표정에도 활기가 남아있었고, 감독 역시 일상적인 촬영을 이어가고 있었다. 하지만 5월 4일, ‘여명의 황새울’ 작전 이후, 많은 사람들이 몸과 마음의 상처를 입으면서 마을에는 큰 변화가 있었고, 그 변화는 감독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마치 전쟁터와도 같았던 그 끔찍한 현장을 경험하고 난 후부터는 더 이상 예전처럼 ‘아무 생각없이’ 촬영을 할 수가 없었던 것.

감독은 당시를 회상하며 ‘몸은 서울에 있어도 황량해진 황새울 들판을 바라보며 멍하니 앉아있을 주민들을 생각하면 마음이 불안해지고 현재의 삶이 혼란스러워짐을 느끼게 되었다’고 이야기한다. 그것이 바로 당시 ‘돌림병’처럼 돌던 ‘대추리 병’. 한 달 정도를 그 증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방황하던 감독은 결국 다시 대추리를 찾게 되고…

멀고도 험한 ‘대추리 가는 길’,
지킴이로, 주민으로 촬영자로… 대추리에서 살기!”

1년여동안 서울과 대추리를 오가며 김준호 감독은 경찰이나 군인들과도 특별한 경험을 많이 나누었다. 마을로 들어가는 길이 모두 차단된 대추리에 들어가는 길에서는 언제나 경찰과의 실랑이가 벌어졌던 것. 심지어 버스까지 검문하는 경찰에게 “왜 못들어가냐” 물으면 “군사시설 보호구역이기 때문에 들어갈 수 없다” 답하고, “주민들이 살고 있는 곳이 아니냐”고 하면, “논이나 미군기지 쪽 철조망을 훼손할 지도 모르기 때문에 안된다”고 답하는 식이었다. 결국 신분증과 명함까지 다 보여주며, “저 다큐멘터리 만드는 사람인데요”라고 마지막 카드를 내어놓으면, “당신의 신상은 명확하지만 주민이 아니면 못들어간다”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결국 어찌되었든 대추리는 ‘갈 수 없는 마을’이었던 것이다.
 
자유로이 드나들기도 어렵고, 마을을 나오면 금방 또 도지는 대추리병까지... 김준호 감독이 마을에서 살 이유는 충분했다. 늦은밤까지 마을 사람들과 두런두런 이야기를 나누며 술을 마시고 아침이면 일어나 할아버지 농사일도 거들고, 또 짬짬이 촬영도 하며 이어진 대추리에서의 생활이 더할나위 없이 행복했다는 그의 고백이 조금도 의심스럽지 않은 것은 영화 속에 그 모든 감정이 절절히 느껴지고 있기 때문. 그렇게 완성된 <길>은 ‘투쟁의 기록’이기 이전에 그 자체가 주민들과 함께한 생활이자 싸움의 과정으로, 정제되지 않은 ‘날 것’ 그대로의 감동을 전하고 있는 것이다.


People
   방효태 할아버지 “논은 자식보다 소중한 거여.”                                      

대추리에서 평생을 살아오신 일흔살의 방효태 할아버지. 자식은 안 찾아가봐도 논에는 찾아가봐야 한다는 할아버지는 이른 아침부터 해가 질 때까지 잠시도 몸을 쉬지 않는다. 하루종일 흙을 고르고 잡초를 뽑고 거름을 주며 그야말로 자식을 보살피듯 논밭을 보듬는 중간중간 갈증을 달래는 소주 한 병이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웃음을 지어보이는 할아버지. 그리도 소박한 농부의 삶이 공권력에 의해 파괴되는 모습을 보는 것은 누구에게나 괴로운 일이다.

‘내가 왜 범법자냐’며 역정을 내시다가도, 결국은 논으로 들어가는 길을 내기 위해 땡볕 아래에서 온종일 흙을 파내고, 또 저녁이면 누구보다도 커다란 초를 들고 촛불문화제를 찾는 할아버지에게 그 누가 애정을 느끼지 않을 수 있을까. 2007년 강제 이주 후, 그리도 좋아하던 흙을 떠나 건물 경비원으로 일하신다는 소식이 더욱 안타깝게 느껴지는 이유 역시 바로 거기에 있을 것이다.


Director  푸른영상의 젊은 피, 김준호 감독                           

<송환>의 김동원 감독이 1991년에 만든 다큐멘터리 공동체 ‘푸른영상’ 에서 활동하고 있는 김준호 감독은 자타공인 ‘푸른영상’, 혹은 ‘독립 다큐멘터리’계의 ‘젊은 피’. 다큐멘터리계의 보기 드문 '젊은 감독'으로 그만큼 많은 기대와 주목을 받고 있다.
2005년에 푸른영상 활동을 시작하여, 문정현 감독의 <슬로브핫의 딸들>, 2006년 정일건 감독의 <대추리 전쟁>의 조연출 과정을 거친 후 2008년 첫 연출작품 <길>을 완성했다. <길>은 2008년 인디다큐페스티발의 개막작으로 선정된 후, 부산국제영화제, 서울 인권영화제, 서울 환경영화제 등 국내 유수의 영화제에서 소개 되며, 데뷔작이라 보기 힘들 만큼의 힘을 가진 작품이라는 호평을 받았다.

다큐멘터리 공동체 ‘푸른영상’
2005, <슬로브핫의 딸들> 조연출 (연출_문정현)
2006, <대추리전쟁> 조연출 (연출_정일건)
2008, <길>

제목  길 Old Man and the Land
감독  김준호
출연  방효태, 대추리 주민들과 지킴이들
러닝타임  73분
장르  다큐멘터리
관람등급  12세 이상 관람가
개봉일  2009년 5월 14일(목)
개봉관  인디스페이스 (2009 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 개봉지원작)
제작  푸른영상
배급  시네마 달 (www.cinemadal.com)
홍보/마케팅  시네마 달 (www.cinemadal.com)
상영/수상경력   2008 인디다큐페스티발 _개막작
2008 제13회 부산국제영화제
2008 제5회 서울환경영화제
2008 서울인권영화제
공식블로그  길 (http://blog.naver.com/2009gill)


Credi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