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munity/관객기자단 [인디즈]

[인디즈 Review] <다시 태어나도 우리>: 인간이 숭고해지는 영화적 진실성에 대해 생각하다

by indiespace_은 2017. 10. 13.


 <다시 태어나도 우리한줄 관람평


이지윤 | 하얀 눈처럼 쌓이는 인연, 다시 태어나도 우리 그 위에서

박범수 | 인간이 숭고해지는 영화적 진실성에 대해 생각하다

조휴연 | 태어날 곳은 선택할 수 없지만, 삶은 만들어갈 수 있다

최대한 | 아홉 살 린포체의 무게감과 참된 스승의 헌신이 애잔하다

김신 | 내 작은 나무는 바람을 사랑했네. 정처 없는 바람을. 바람의 집은 어디인가. 바람의 집은 - 포루그 파로흐자드

남선우 | 우리는 모두 정해진 삶과 정해야 하는 삶 사이를 헤맨다






 <다시 태어나도 우리> 리뷰: 인간이 숭고해지는 영화적 진실성에 대해 생각하다





*관객기자단 [인디즈] 박범수 님의 글입니다.



환생한 티베트 수도승 ‘린포체’로 지명된 소년 ‘앙뚜’와 그의 늙은 스승 ‘우르갼’의 삶을 담은 <다시 태어나도 우리>를 보는 내내, 스치는 당혹감에 자리를 계속 고쳐 앉았다. 작가의 개입과 허구적 요소를 최소화하는 것이 피사체를 대하는 다큐멘터리의 진실성이라는 평소의 생각이 흔들렸기 때문이다.





두 개의 장면을 이야기하고 싶다. 사원에 두 명의 린포체를 들일 수 없다는 원칙 때문에 앙뚜가 쫓겨나자 우르갼은 앙뚜가 전생을 살았던 티베트의 캄으로 그를 데려가기로 결심한다. 캄 인근의 국경 도시에서 둘은 매점을 운영하는 중년 여인을 만난다. 여인이 캄에 가려는 이유를 묻자 우르갼은 앙뚜의 정체를 알린다. 여인이 절을 하고 린포체는 여인의 머리에 손을 얹어 축복한다. 의문점은 앙뚜가 린포체임을 알리는 우르갼과 앙뚜에게 절을 하는 여인이 하나의 연속된 쇼트가 아닌 쇼트-리버스 쇼트로 처리되었다는 데에 있다. 이것은 편집이라는 허구적 조작을 실재의 기록에 개입시킨 하나의 결단이다. 그렇다면 그 결단은 무엇을 향하는가. 우르갼의 말과 여인의 절 사이에 존재했을 간극은 과연 무엇일까.


분절된 쇼트는 이후에도 등장한다. 앙뚜와 우르갼의 사정을 알게 된 어느 사원에서 앙뚜에게 린포체 교육을 제공하기로 하자, 우르갼은 자신의 소임이 다했음을 깨닫고 작별을 고한다. 우르갼이 눈물을 흘리지만 앙뚜는 당면한 상황을 애써 부정하려는 태도를 보일 뿐이다. 앙뚜의 눈물이 등장하는 것은 그 다음 쇼트이다. 우르갼과 앙뚜의 눈물에는 분명한 시차가 있다. 그 시차를 생략해버린 결단은 매점에서의 쇼트-리버스 쇼트와 같은 선상에 놓일 수 있는 것일까.


생각해 보면 다큐멘터리가 작가의 개입을 배제하고, 있는 그대로를 객관적으로 기록해야 한다는 말은 형용모순을 안고 있다. 현실에 특정한 구도의 프레임(혹은 카메라)을 가져다 대는 순간, 현실은 그 프레임에 따라 해석되고 보여지기에 모든 관점에서의 보편성을 의미하는 객관성은 결코 확보될 수 없다. 다큐멘터리 작업에 작가의 개입이 원천적으로 배제될 수 없는 것도 바로 프레임의 주체가 작가이기 때문이다. 다큐멘터리란 결국 작가라는 주체의 인식을 기반으로 실재에 최대한 가깝게 재구성된 현실의 모사인 셈이다. 그러나 모사가 곧 진실성에 반하는 것은 아니다. 절대적이고 객관적인 단 하나의 진실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보았을 때, 주체의 인식에 따라 현실이 재구성된다는 말은 하나의 현상을 두고 주체의 수만큼 서로 다른 진실들을 드러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보인다.





다큐멘터리 역사에 족적을 남긴 작가들은 그 진실성을 획득하기 위해 현실을 어떻게 재구성해야 할 지를 정확히 아는 선구자들이었다. 최초의 다큐멘터리 영화로 알려진 로버트 J. 플래허티 감독의 <북극의 나누크>(1922)는 가장 유명한 예시일 것이다. 플래허티는 캐나다 북부에 거주하는 이누이트 족의 일상을 담는 과정에서 그들에게 연기를 요구했다. 실제로는 바다코끼리 사냥에 총을 사용하던 이누이트들이 그의 뜻에 따라 작살을 꺼내든 것이다. 플래허티는 스스로와 관객 모두를 기만한 것일까? 그보다는 플래허티가 중요하게 여긴 진실이 기계적으로 기록된 이방인의 생활상 그 자체가 아닌, 유럽과는 상이한 환경에서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적응해 살아가는 비유럽인의 존재를 드러내는 데 있었다고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베르너 헤어조크 감독의 <그리즐리 맨>(2005)이 진실에 접근하는 방식도 눈 여겨 볼 만 하다. 알래스카의 곰들과 어울려 살다가 결국 곰에게 잡아 먹힌 환경운동가 티모시 트래드웰을 다룬 이 다큐멘터리에서 헤어조크는 나레이션과 인터뷰를 활용해 트래드웰의 삶을 적극적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트래드웰의 행적을 단순히 기록하는 데에 그쳤더라면 <그리즐리 맨>은 지구의 암적 존재인 인간의 횡포에 맞서 곰들을 지켜내고자 했던 어느 낭만주의자의 비극으로 남았을 것이다. 그러나 헤어조크의 개입은 약육강식이라는 비정한 자연의 섭리를 이해하지 못한 망상가로서의 이면을 들추어낸다. 헤어조크가 밝혀내고자 했던 진실은 트래드웰이라는 인간과 그 사상의 본질이 아닌, 그의 삶이 내포한 인간 존재의 태생적 다층성과 다면성이었다.


다소 우회한 이야기를 <다시 태어나도 우리>가 두 수도승을 대하는 태도로 끌어 와 생각해 볼 차례다. 영화의 전반에 짙게 깔려있는 종교적 숙명은 앙뚜와 우르갼의 서사를 지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다. 그러나 영화가 그 숙명에 앞서 줄곧 주목하는 지점은 아이와 노인이 영위하는 지극히 일상적인 나날들이다. 노인들의 머리를 매만지던 앙뚜는 린포체이기에 앞서 또래들과 뛰어 놀고 싶은 한 명의 어린이다. 앙뚜는 자신이 아무 것도 아닌 존재일지도 모른다는 불안에 사로잡혀 있다. 앙뚜의 불안을 가장 잘 이해하고 달래주는 존재는 바로 우르갼이다. 중생들을 다스리고 이끌어야 할 종교인으로서 가져야 할 태도를 조언하기도 하지만, 앙뚜를 먹이고 재우면서 공부를 게을리할 때마다 꾸지람을 내리는 모습은 영락없는 할아버지와 손주의 관계다.


일상의 먹고 사는 문제가 전면에 등장할 때, 영화는 헤어조크의 인터뷰가 트래드웰의 삶에 개입한 것처럼 인물들에게 한층 더 가까이 다가간다. 상자에 지폐를 넣는 우르갼의 손과 난로에 기름을 붓다가 불을 낼 뻔한 앙뚜의 손을 포착하는 클로즈업은 영적 지도자들을 더없이 인간적으로 보이게 한다. 쇼트-리버스 쇼트의 결단도 어쩌면 동일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물리적 거리뿐만 아니라 시간적인 거리까지도 줄임으로써 인물들의 인간적인 면모를 한층 부각시키려는 시도처럼 보인다.





인간적인 것들에 대비되는 초월적이고 지고한 것들은 더없이 먼 곳에서 인간을 굽어본다. 티베트인들의 성산(聖山)인 히말라야와 카라코람의 고봉들, 윤회를 끊기 위해 갠지스 강어귀를 밝게 물들이는 화장의 불길, 하늘의 별 대신 무수히 빛나는 도시의 조명들은 속세의 번뇌와는 한참 떨어진 별세계처럼 보인다. 그 별세계를 지나 온 앙뚜와 우르갼의 여정이 방점을 찍는 순간은 한 치 앞도 보이지 않는 눈보라를 헤치고 캄으로 향할 때다. 무릎까지 빠지는 눈 위를 걷던 앙뚜가 힘이 들어 더 이상 걷지 못하겠다고 하자 우르갼은 조금만 더 힘을 내라고 다독인다. 시계가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더 이상의 이동은 무리였기에 우르갼은 앙뚜에게 소라나팔을 불게 한다. 소리를 듣고 캄의 수도승들이 그들의 존재를 알게 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아무도 그들을 찾아오지 않고 조우는 실패한다.


이 장면은 이상하게도 ‘진실을 위한 조작’을 수행했던 플래허티의 카메라를 떠올리게 한다. 초월적인 것들은 시야에서 사라졌고, 카메라는 모든 것을 사전에 알고 있었다는 듯이 무심한 롱 쇼트로 육체적 한계에 다다른 앙뚜와 우르갼을 포착한다. 종교적 숙명의 무게보다 당면한 인간적 고통이 부각되는 순간, 롱 쇼트는 오롯이 둘만을 포착함으로써 눈물의 쇼트-리버스 쇼트에 비할 수 있는 어떤 진실에 다가간다. <다시 태어나도 우리>가 도달하는 지점은 종교 없이 인간 그 자체를 숭고하게 다룰 수 있다고 믿는 휴머니즘이다. 영화는 서로에게 의지하는 앙뚜와 우르갼에게서 운명의 굴레를 한 꺼풀 벗겨내 언 땅에 굳게 두 발을 딛고 선 인간을 보여준다. 종교라는 주제를 손쉽게 답습하는 대신 그 안에 존재하는 인간의 모습에서 적극적으로 진실을 찾아내려는 태도는 형식에 대한 교조적 태도를 넘어 큰 울림을 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리고 그 진실성이야 말로 <다시 태어나도 우리>가 가진 가장 큰 미덕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