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ow Playing/정기상영 | 기획전

[04.28-30] 416 4주기 추모상영회

by indiespace_은 2018. 4. 20.




 기획전  416 4주기 추모상영회

 

기간 2018년 4월 28일(토) - 30일(월)

상영작 <눈꺼풀>, <그날, 바다>, <공동의 기억: 트라우마>, <오, 사랑>, <초현실>

장소 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

관람료 7,000원 (일반 개봉작 8,000원 / 그 외 후원회원 무료, 멤버십 천 원 할인)

주관 주최 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





 상영시간표 






 예매하기 

맥스무비 http://bit.ly/2vULqyh

예스24 http://bit.ly/an5zh9

다음 http://bit.ly/2qtAcPS

네이버 http://bit.ly/OVY1Mk







 상영작 


1. 눈꺼풀

오멸 | 2016 | 85min



먼 길 떠나는 당신, 든든하게 먹이고 보내고 싶었습니다.

죽은 자들이 마지막으로 들른다는 섬 미륵도. 이곳엔 먼 길 떠나기 전 이승에 남겨진 사람들의 마음을 전하는 떡을 찧는 노인이 있다. 그러던 어느 날, 바다에 커다란 폭풍이 몰아치고 선생님과 학생들이 섬에 찾아온다. 그러나 쌀을 빻을 절구통이 부서지고, 우물의 물이 썩어 더 이상 떡을 만들 수 없게 되는데...




2. 그날, 바다

김지영 | 2018 | 110min



사라진 20분, 벗어난 경로

바다는 모든 것을 알고 있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가 침몰했다. 8시 30분경과 8시 50분경으로 사고 발생 시간에 대한 진술은 엇갈리고, 세월호의 항로를 기록한 데이터는 각기 다르게 기록되거나 사라졌다. 과학적인 분석과 자료 수집, 4년간의 치밀한 조사로 오직 팩트로만 아직 아무것도 밝혀지지 않은 그날을 추적한다. 

잊을 수 없는 ‘그날’, 모든 걸 알고 있는 ‘바다’

증거에 증거로 답해야 할 것이다!




3. 공동의 기억: 트라우마

오지수, 주현숙, 문성준, 엄희찬 | 2017 | 138min



지난 4년간 한국사회에 세월호 참사는 어떤 작용을 하며 어떤 상흔을 남기고 있었을까요? 

희생자, 생존자를 넘어선 일반 국민들에게도 각인된 트라우마는 우리의 삶의 기저에 어떻게 스며들어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게 하는지 묻습니다. 아픔을 간직한 세월호가 뭍으로 올라오고 정권이 바뀌어 가시적인 ‘무엇’이 보이는 것만 같지만 이제 다시 ‘진실을 향한 첫 걸음’을 떼어야 하는 순간입니다. 세월호 참사 4주기, 4.16연대 미디어위원회는 “망각과 기억”이라는 테마를 넘어 “공동의 기억”을 더듬으며 더불어 함께하는 행동을 촉구하려 합니다.




4. 오, 사랑

김응수 | 2017 | 75min



J는 소도시에서 작은 컴퓨터 가게를 운영하는 중년이다. 어느 오월의 어버이날, 그는 특이한 체험을 한다. 버스 옆자리에 탄 남자의 가슴에 달린 노란 카네이션을 본 것이다. 빨간 카네이션이 아니라 노란 카네이션. 그 남자의 정체에 대한 의문과 함께, 그 꽃은 여행 내내 그에게서 잊고 싶은 기억을 떠올린다. 그 꽃은 그를 자꾸만 불편하게 한다. 보도로만 접했던 세월호의 비극이 다시 떠오르는 것이다. 더욱 놀란 것은 자신도 모르게 눈물을 흘린 것이다. ‘나와 그 남자가 무슨 관계가 있단 말인가.’ 여행에서 돌아온 그는 그 남자에 대한 이미지가 잊히지 않아 자신의 가게에 노란 리본을 붙인다. 떼지 않으면 거래를 끊겠다는 사람도 있었지만, 그는 떼지 않는다. 어느 날, 그는 아들과 함께 추모의 숲과 비극의 현장을 방문한다. 인적은 없고 희생자들을 기억하는 리본과 사진, 글이 보인다. 그는 그 곳에 아들과 서서 자신에게 묻는다. ‘해가 여러 번 바뀌었어도, 잊은 것 같은데도 그 비극이 잊히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정치가 그 남자의 고통을 외면할 때, 나약한 자신은 같은 공기를 마시는 한 인간으로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5. 초현실

김응수 | 2017 | 69min



김광배씨는 참으로 극성스런 아빠다. 그는 아들 건우가 다니는 대학교의 MT를 따라간다. 아들이 걱정되기 때문이다. 그의 눈에 아들은 아직 철없는 고등학생이다. 건우는 죽었고, 우석대학교에 상담심리학과에 영혼입학을 하였다. 그에게 아들은 살아있다. 그는 아들이 성인이 되지 않았으면 하고 바란다. 성인이 되면 아빠 품을 영원히 떠나야 하기 때문이다. 속을 썩여도 좋으니 말썽꾸러기 고등학생으로 남아 있기를 바란다. 그러나 한편, 그는 아들을 자기 품에서 풀어주려고 노력한다. 언제까지나 품에 안고 살 수는 없기 때문이다. 저녁 때, 그는 아들을 MT에 혼자 두고 집으로 돌아간다. 아들이 성인이 되었음을 받아들인다. 아들은 혼자 살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의 가슴 속에는 영원히 어린 아들이 살고 있을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