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없이 사라져가는 개개(個個)의 역사
<개의 역사>
정경희 (세컨드 필름 매거진 에디터)
“그 개가 어떤 개인데 다큐를 찍어요?” 영화 초반 개를 산책시키는 아주머니가 감독에게 묻는다. 동네를 떠돌다 잡아먹힐뻔 한 걸 지금은 사라진 대관령 슈퍼 할아버지가 거둬 돌보았다는 개. 기구하지만 흔한 사연을 지녔다. 사회가 주목할 만한, 뉴스가 다룰 법한 이야기는 아니다. 감독은 이 개를 찍겠다고 카메라를 들었다. 관객 역시 감독에게 묻고 싶어진다. 왜 이 영화를 보아야 하느냐고.
감독은 애매하게 답을 유보한 채 개에 관한 주민들의 기억을 수집하려 동네를 돌아다닌다. 주민들의 기억은 대체로 개가 있다는 건 알지만 언제부터 있었고 어떻게 사는지는 모른다는 식이다. 오히려 개에 관한 헐거운 기억의 틈 사이로 동네에 얽힌 각자의 기억들이 비집고 들어온다. 개를 알고자 한 감독의 카메라에는 개와 주민들의 얼굴, 가파른 계단, 학교 앞, 비둘기, 고양이, 골목 모퉁이, 감독이 열 세 번째로 이사한 집이 담긴다. 십 년도 더 전 이 동네에 살았다는 친구의 목소리가 그 위를 흐르고, 오래 함께한 개가 죽었던 감독의 기억이 끼어든다. 여전히 왜 이 개인지에 대한 설명은 듣지 못한 채 대상과 어긋난 카메라의 시선, 카메라의 시선과 어긋난 사운드가 얼기설기 이어 붙여져 교차한다. 감독의 시선도 주민의 증언도 어느 것 하나 제대로 힘을 행사하지 못한 채 중심을 잡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
중심에서 멀어져 언저리를 맴도는 영화 <개의 역사>는 오히려 적극적으로 힘을 분산시키고 주변부를 끌어들인다. 개에 관한 각자의 느슨한 기억들이 그에 얽힌 주민들 자신의 역사와 후암동의 이곳과 저곳, 예전과 지금을 드러낸다. 감독이 이사를 가며 비슷한 결의 다른 시공간이 새롭게 개입되고 그곳에 사는 얼굴들과 발생했던 크고 작은 사건들이 한 데 모인다. 움직이지 않는 카메라에 의도치 않은 얼굴들이 들어왔다가 사라지고 관객은 그 난데없음에 카메라 밖 세계를 의식한다. “동시에 일어났던 다른 중요한 어떤 일들”이 있음을 고려한 감독의 연출, 편집 방식은 중심을 해체하고 주변을 수집해 조명한다. 개의 역사를 알고자 했던 영화는 개개의 역사들을 건드리고 교차시켜 새로운 서사를 구축한다. 하찮다 여겨지는 것들로 쓰인 이 새로운 서사는 도무지 하잖아 보이지 않는 “사라져가는 것들의 지워져 가는 시간들”을 보여준다.
영화의 말미 감독은 “백구의 역사를 알아내는 데에 실패했다”고 말한다. 백구뿐만이 아니다. 이사 간 홍은동 집 이웃 할머니의 역사도, 정자에 모인 할머니들의 역사도 감독은 결국 알아내는 데에 실패한다. 이는 그가 이사 온 지 얼마 안 된 “새로운 분”이기 때문도, 그래서 “그동안에 서로를 잘 모르”기 때문도 아니다. 누군가를 제대로 완벽히 다 안다는 것은 필패할 수밖에 없다. 우리가 모르는 사이 파악할 수도 없는 수많은 개개의 역사가 새로 쓰이고 쉽게 묻혀버린다. 앎의 필연적인 실패는 알기 위한 우리의 노력에 의문을 던진다. 어차피 무엇 하나 제대로 알 수 없다면, 우리는 왜 알기 위해 노력해야 할까. 개의 역사를 알아내는 일이 애초에 실패할 것이었다면, 감독의 노력은 무의미했던 것일까.
역시 영화의 말미 감독은 “삶을 사랑하는 법을 찾고 싶었다”고 고백한다. 삶을 사랑하고자 찍게 된 <개의 역사>는 무언가를 알기 위한 노력의 연속이다. 백구라는 개에, 이웃들에, 동네 구석구석에 관심을 가지고 살핀다. 무관심 속에 방치되지 않은 앎의 대상은 하나의 존재가 되어 다가왔고 촬영자와 피사체는 존재 대 존재로 관계를 맺는다. 서로의 안부를 묻고 걱정하며 오디션 지원을 돕기도, 개를 같이 묻으러 가기도 한다. 대상이 아닌 존재를 담는 카메라는 먼발치에서 뒤따르거나 지켜볼 뿐 알려달라고 강요하지도, 원하지 않는 걸 공개하지도 않는다. 결국에는 실패할 줄 알면서도 알기 위해 노력할 때 우리는 관계 안에서 서로를 존중하고 보살피며 삶을 이어나갈 수 있게 된다. 삶을 함께한 기억은 소중한 이의 마지막을 지키는 힘이 되고 “사라져가는 것들의 지워져 가는 시간들”을 지연시킨다. 감독이 <개의 역사>에서 수행한 사랑의 방식은 삶을 소중한 관계와 기억들로 채워 사랑하는 것이었다.
중심을 해체하고 주변을 조명해 새로운 역사를 쓰는 것, 이성을 맹신한 채 안다고 믿으며 쉽게 정의 내리지 않는 것, 하나의 관점이 아닌 개개의 상황을 고려해 보살피는 것 모두 페미니즘이 자신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취하는 중요한 방식들이다. 흔히 페미니즘은 여성우월주의로 오해 받는다. 남성 중심에서 여성 중심으로 세상의 구도를 옮겨 오자는 게 아니냐는 것이다. 그러나 페미니즘의 요는 무언가를 중심에 두는 구도 자체를 타파하는 데에 있다. 만일 중심이 있더라도 이분법적 구도 하의 하나의 중심이 아닌 다원화된 중심을 추구한다. 이 영화는 여성의 권리를 전면에서 외치는, 흔히 떠올리는 페미니즘 영화와는 다르다. 그러나 “이름 없는 것들의 찾지 못한 이름들”을 발굴해 호명하는 행위는 그 자체로 페미니즘과 닿아있다. 그러면서도 여성 특유의 시선이라 단정 지을 수만은 없는 감독 자신만의 언어로 삶에 대한 고유한 통찰을 제시하며 작가적 성취를 이루어낸다.
'Now Playing > 정기상영 | 기획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20] SIDOF 발견과 주목 <플레이 온>(감독 변규리) (0) | 2017.06.07 |
---|---|
[발제문] 페미니즘 시각으로 보는 다큐멘터리 <버블 패밀리> (0) | 2017.05.31 |
[발제문] 페미니즘 시각으로 보는 다큐멘터리 <난잎으로 칼을 얻다> (0) | 2017.05.31 |
[발제문] 페미니즘 시각으로 보는 다큐멘터리 <그녀들의 점심시간> (0) | 2017.05.31 |
[06.09] 6.10민주항쟁 30주년 특별상영회 <명성, 그 6일의 기록> (0) | 2017.05.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