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munity/관객기자단 [인디즈]

[인디즈 Review] <폭력의 씨앗>: 폭력의 굴레에 갇혀버린 군상들

by indiespace_은 2017. 11. 11.




 <폭력의 씨앗한줄 관람평


이지윤 | 자라나는 폭력의 씨앗, 형태는 다르지만 본질은 같음이 비극

조휴연 | 구조 안에서 씨앗은 어떻게 싹을 틔우는가

최대한 | 폭력의 세계에서 벗어나려고 몸부림 쳤지만, 그 역시 다를 건 없었다

이가영 | 폭력의 굴레에 갇혀버린 군상들

김신 | 오금이 쪼그라들어서 객관적인 평가가 불가능합니다(미필)

남선우 | 전지적 폭력 시점의 이중성





 <폭력의 씨앗> 리뷰: 폭력의 굴레에 갇혀버린 군상들




*관객기자단 [인디즈] 이가영 님의 글입니다.



살다 보면 우리에게도 불행한 날이 찾아 온다. 평소라면 겪지 않았을 이상한 일들이 한꺼번에 일어나기도 하며 어서 빨리 하루가 끝났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기도 한다. <폭력의 씨앗>은 그런 악몽같은 ‘주용’의 하루를 그린 영화다.  


군대 선임들과 외박을 나가는 날, 무슨 일인지 주용은 눈치가 보인다. 술자리에서 자신을 편하게 대하라는 선임의 말도 장난으로만 받아들일 수 없다. 주용을 슬쩍 화장실로 불러낸 박 병장은 분대원 간 폭행사건을 누군가 고위급 간부에게 폭로하려 했다며 익명의 쪽지를 보여준다. 최고참인 박 병장은 위협적인 톤으로 주용을 몰아세우다 후임에게 잘해주라며 의미심장한 말을 남기고, 분대원들도 잠정적으로 주용 아니면 주용의 후임인 필립이 쪽지를 썼다고 생각한다. 혹 그 둘이 안썼다 하더라도 둘 중 하나의 만행이여야 한다. 선임은 술자리 후 주용과 필립을 방으로 불러내고 폭력을 행사하며 쪽지를 누가 썼는지는 관심 없으니 너희 둘 중 하나가 뒤집어 쓰라며 닦달한다. 그 과정에서 필립의 이가 부러지고, 주용은 선임을 설득해 매형이 하는 치과로 필립을 데려간다. 매형은 직접 찾아온 주용을 반기지 않고, 누나와 힘들게 통화를 하지만 면회 날짜를 까먹었다며 변명하는 누나가 의심쩍다. 결국 걱정되는 마음에 집으로 찾아간 주용은 또 다른 폭력을 목격하게 된다. 





영화는 주용의 뒷모습으로 시작한다. 이때 시공간에 대한 단서는 오로지 카메라가 팔로우하는 인물과 대화를 통해서만 짐작할 수 있는데, 그마저도 핸드헬드 기법으로 촬영해 프레임은 계속 불안정하게 흔들린다. 이처럼 불분명하고 불안정한 오프닝 시퀀스의 분위기는 극의 지배적인 정서로 이어진다. 


관객들은 경직된 표정의 인물과 언제 터질지 모르는 폭력성에도 긴장감을 느낀다. 감정을 억누르고 복종해야 하는 군대에서 인물들은 ‘말’을 통해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다. 주용과 필립의 경우가 그렇다. 하지만 제 3자가 인물의 심리를 읽어낼 수 있는 클로즈업 샷은 드물고 인물을 뒤에서 따라가는 숏은 길게 이어지기 때문에 보는 사람은 상황을 예측함에 있어 답답함을 느낀다. 영화 후반부로 갈수록 주용은 계속되는 필립의 실수와 눈치 없는 행동에 인내심을 잃어간다. 자신이 명령해도 무조건 복종하지 않는 필립을 보며 분노하고 도리어 자신을 의심하는 그와 바닥을 뒹굴며 싸운다. 매형의 폭력성을 목격했을 때는 누나를 지키지 못하는 상황에 폭력을 휘두르고 누나를 곤경에 처하게 한다. 군대처럼 강압적인 환경에서만 존재할 것 같던 폭력은 사회 도처에 널린 수직적 관계, 그 안에서 행해지는 모든 폭력의 형태로 확장된다. 결국 권력에 의해 막혀버렸던 주용의 입이 열리고 누나와 필립에게 물리적 폭력을 가하는 순간, 그는 가해자로 변모하는 것이다.  





폭력, 그 연쇄의 시작점은 어디일까. 마치 나비효과처럼 사소한 쪽지는 폭력을 불러들였고 부러진 치아는 일상에 파멸을 가져왔다. 벗어나려 노력했지만 벌어질 일은 끝내 벌어졌다. 운명처럼 주용을 따라다니던 ‘폭력’은 다시 빠져버린 필립의 치아를 통해 극단적으로 시각화 된다. 그 구체적인 실체를 눈으로 확인한 순간, 주용은 폭력이 다시 발아했음을 인지하고 끊임없는 폭력의 굴레에 갇혀버린다. 짙은 허무감이 드리워진 그의 얼굴을 끝으로 <폭력의 씨앗> 엔딩크레딧이 떠오른다.




댓글